주식 (15) 썸네일형 리스트형 [오건영부부장님]다가올 인플레이션, 연준은 과연 금리를 올릴 것인가 https://youtu.be/dbQHfs5YooE-인플레이션에 대한 생각이 사람마다 다르다. -인플레이션은 정의가 무엇일까? 요즘에 관심이 많은 이유는 Fed입장에서의 물가가 궁금한 것일 것이다. - 2004년부터 마켓을 봤을 때: 2007-2008에 제일 먼저보는 지표가 국제유가와 중국의 돼지고기 가격이었다 (소비자 물가가 올라서 돈풀기를 못해서). 그 이후에 2010-2011년에 인플레이션이 핫했고 그 후로는 디플레이션만 이야기를 했었다. - 결론부터 말하면: 올해 인플레이션이 찾아올 것 같고 부부장님도 동의를 하신다. 이유는? —————— -미국의 물가를 결정하는 요인 3가지 (1) 에너지 가격 (유가) - 국제 유가가 큰 영향을 준다 (2) 수입물가 (미국은 소비의 나라) - 달러가치가 많은 영.. 차별적 반등에 대비하라, 박석중 팀장이 전하는 2021 글로벌 포트폴리오 (뒤늦게 정리함) https://youtu.be/vm6MYAlCu-Q 자산을 배분하는 사람들이 결국에는 수익률이 높다. 나머지 자산들은 어떻게 할 것인가? 리플레이션이 온다면 실물을 갖고 있어야 한다. 금리가 상승하는 구간에서는 대체자산이 매력적일 것이다. 대체자산은 ETF로 살 수 있다. 리츠, 원자재 등채권보다는 리츠, 농산품, 배당, 인프라 이런 자산들의 비중. 박석중 팀장님: 농산품 많이 좋게 보심. 기업과 자산 다 좋게 보심. 예전에는 금을 좋게 봤는데 귀금속이랑 늘려가려고 하고 있음. 미국리츠 좋게 보심. 리츠는 배당상품이라고 생각하는데 실질적으로는 멀티플이 늘어난다. 확장성이 유리하다. 물류센터리츠는 지금 벨류가 좀 부담스럽지 않나. 헬스케어리츠: ETF있음. —> 미국 리츠에 대해 좀 공부해보면 좋을 듯. .. [책]미라클 모닝 주변에서 예전부터 많이 이야기하던 책이었는데 이제서야 봤다. 66p 목표는 무엇인지 알아내는게 아니라 결정하는 것이다. 자신의 최고버전이 될 것. 이 부분에서 ‘아하’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내 삶의 목표가 무엇일까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본적이 있는데 이것은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다. 나처럼 욕심이 많고 사변적인 사람은 이 목표를 결정하는 것도 쉽지 않다. 하지만 자잘한 생각들을 정리, 정렬해가면서 작업을 하고 있다. 67: ‘당신이 어떤 것 하나를 하는 방식이 곧 당신이 모든 것을 하는 방식이다. 늘 그런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마음에 두고 있는 목표가 있으면 그걸 좀 더 꼼꼼하게 하고 나머지는 좀 더 느슨하게 하게 된다. 나는 잘하고 싶은게 있고 나머지 해야하는 것들도 그런 방식으로 접근한다면 이룰 수.. 하마터면 회계를 모르고 일할뻔 했다 (1) (1) 손익계산서: 손실과 이익을 정리하고 기록한 재무제표 재무 상태표: 재산의 변화를 기록한 재무제표 이 둘은 유기적으로 관계를 주고받으며 변한다. -출자란? 기업을 세우면서 자본금을 납인하는 것. 여러명이 출자를 하면 지분율이 생긴다. 두명이 반반하면 50% 50% - 자산의 항목 중 재고자산: *상품: 다른 사람으로부터 만들어진걸 사다가 파는 것 *제품 : 직점 제조해서 판매. 반제품은 그 상태로 외부 판매가 가능하고, 재공품은 외부 판매가 불가능. *제조 중인 제품 *원재료 (2) 회계 항등식: 자산 = 부채 + 자본 (3)손익거래: 자산 또는 부채의 변화로 ‘자본’이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변화가 생기는 거래. 손익거래의 이익은 주주의 것 - 자본 항목의 이익잉여금이 된다. / 반대로 손실을 내면 .. [미국기업]GSK https://drive.google.com/file/d/1osp59AIsq2b50qUIrrJjNi2GmMv4k2pW/view?usp=drivesdk I_Pharmaceuticals_20201013_IBK_663336.pdf drive.google.com 참고자료: IBK투자증권 Issue Report 글로벌 백신 시장 규모는 매년 성장세, 백신 산업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음 지금은 코로나 관련 백신회사만 조명받고 있지만 백신 산업자체가 성장하는 산업이라면 나머지 기업들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생각으로 기업을 찾아보았습니다. 백신 산업의 글로벌 대표 Top 4기업은: Mersk&Co, GSK, Pfizer, Sanofi - 글로벌 백신 시장 점유율의 85%로 과점 시장을 형성. 과점이라니 마음에 듭니..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