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책과강의

[유튜브정리]IT의신- 반도체 투자하려면 이정도는 알고 해야지(1)

https://youtu.be/ijC6t6gtYyQ

윌리엄 쇼클리라는 분이 트랜지스터를 발명해서 노벨물리학상.
트렌지스터 라디오의 유행의 시작.
- 윌리엄쇼클리가 쇼클리연구소를 만들면서 실리콘 벨리가 시작. 쇼클리연구소에서 나온 8인이 페어차일드를 만들었다.
페어차일드 출신이 인텔, AMD를 만들었다. 70년대는 미국 반도체의 전성기.
일본이 80년대부터 치고 올라오기 시작 - top10에서 6개를 차지하게 됨. 미국 반도체 회사들의 구조조정. 인텔이 개발한 D램이 일본으로 넘어감. 이때 수율이 50%밖에 안나오는데 일본이 80%나와서 일본에 빼앗김.
인텔이 디램을 포기하고 cpu를 탄생시킴. AMD도 CPU- 프로세서는 미국이 주도하고 메모리는 일본이 주도.

x86: 인텔, AMD. / 286, 386, 486,, .. 이런식으로 진화
일본에서 과점상태가 되면서 한국, 대만이 치고 올라감.
삼성이 도쿄선언. 당시에 주류였던 64K D램 국산화를 성공.
일본 업체들이 새로운 업체가 들어오니까 덤핑을 해버림. 삼성이 1200억대 적자를 봄.
이게 미국의 심기를 건드림. 미국의 마이크론이 반독점 소송을 제기함. 일본 덤핑에 대해 제재가 가해짐. 일본반도체가 하락기가 겪게되고
이때 한국이 올라오는 계기가 됨.
1990년에 D램시장 장악.
이 때 대만은 모리스창이 파운드리 중심의 TSMC.

—-
당시 연구원들은 스택과 트랜치방식으로 고민을하고 있었는데 스택은 회로를 고층으로 쌓는것이고, 트렌치는 지하로 파고들어가는 형식.
주류는 트랜치 방식이었는데 삼성은 스택방식으로 갔다.
낸드플래시에서 2000년대 도시바를 제치고 1등을 하게 됨.
원래는 플로팅게이트라는 방식으로 했는데 삼성은 CTF(Charge Trap Flash)라는 방식(타노스라는 신물질을 이용해 전하를 도체가 아닌 부도체에 저장시켜 프롤팅게이트를 없애는 기술)으로 성공
지금은 삼성은 3나노에서 GAA를 시도하고 있다.
지금 삼성은 GAA과 cube시리즈.
cube시리즈는 후공정이고 GAA는 EVV로 가공하는 전공정 기술

GAA관련주는.? Gate All Around.
2022년부터 진행될 예정: ALD라는 장비가 필요하고 지금은 일본의 고쿠사이가 독점. 소재는 일본의 아데카가 독점.
그런데 국산화가 많이 진행이 되어서 원익 IPS.
소재는 디앤에프
지금은 유진테크에서 수주가 많이 나오는 듯.

후공정에서.. TSME가 갖고 있는 Fo-WLP- 최고의패치징 기술 (애플에 다 뺴았김)
삼성이 Fo PLP를 만들었다.근데 TSMC한테 졌다.

다음 후공정 기술이 큐브 하나의 패키징에 여러 칩을 심는 것.
제우스, 케이씨텍,

검사쪽은 고영, 인텍플러스, 파크시스템스